|
  |
 |
 |
- 네 방향 모두 도로 구조 및 진행 원리가 동일합니다.
|
- 주도로의 우측으로만 분기함으로 일반 간선도로 및 순환도로(서울의 강변도로,88도로)에서 쓰이는 차량진행방식과 |
동일합니다.일반 도심의 순환도로 및 간선도로를 달리는 차량들은 고속도로와 마찬가지로 분기를 위해서는 습관적으로 |
주도로의 우측으로 진행하게 됩니다. |
- 본 우분기 좌우회전 무신호입체교차로는 이러한 운전자의 습관에 맞추어 고안된 간선도로 및 순환도로에서 사용 가능한 |
입체교차로입니다. |
|
 |
|
 |
- 2차분기부 부분이 집산로역할을 하여줍니다.
|
- 주도로(직진도로)에서 좌우회전을 위한 차량이 분기한 후에 주도로로 진입하는 차량이 합류합니다. |
그러므로 클로버형 입체교차로등에서 보이는 주도로에서의 차량의 진행방향에 의한 교차상충도 일어나지 않습니다. |
|
 |
|
 |
- 평면적이 일반 평면사거리와 큰 차이가 없고 그 운행방식이 일반 평면신호교차로와 동일(좌회전좌측,우회전우측) 함으로 |
적은 부지에서 건설가능한 무신호입체교차로입니다. |
|
 |
|
 |
- 운전자에게 단순한 입체교차로입니다. |
- 좌우회전 모두 주도로의 우측으로 하여 좌회전 차량은 좌측으로, 우회전 차량은 우측으로 나누어집니다. 도시고속화 도로 |
및 간선도로 등에서 보이는 우분기 형태의 도로인 것입니다. (예 : 88 도로, 강변도로) |
- 그러므로 전체구조가 복잡하다하여 운전자에게 복잡하게 인식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합니다. |
|